공자가 말하는 군자
- 박학다식
- 2021. 3. 17.
공자가 살았던 춘추 시대는 주나라 봉건제가 무너지고 제후국들이 주도권을 놓고 치열하게 전쟁을 일삼던 시기였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혼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자는 예(禮)를 제안했습니다. 예란 인간의 도덕적 본성을 그 사회에 맞게 규범화한 것으로 단순히 신분적 차이를 드러내거나 행동을 타율적으로 규제하는 억압 장치는 아니었습니다. 예는 개인의 윤리 규범이면서 사회와 국가 질서를 바로잡는 제도였으며, 인간관계를 올바르게 형성하는 사회적 장치였습니다.
공자는 예에 기반을 둔 정치는 정명(正名)에서 시작한다고 하며, 정명을 실현할 주체로서 군자를 제시하였습니다. 정명이란 '이름을 바로 잡는다'라는 뜻으로, 다양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이 마땅히 해야 할 도리를 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군주는 군주다운 덕성을 갖추고 그에 맞는 예를 실천해야 하며, 군주뿐만 아니라 신하, 부모 자식도 그러해야 합니다. 만일 군주가 예에 의하지 아니하고 법과 형벌에 기대어 정치를 한다면, 백성들은 형벌을 면하기 위해 법을 지킬 뿐, 무엇이 옳고 그른지 스스로 판단하려 하지 않는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공자는 보았습니다.
공자가 제시한 군자는 도덕적 인격을 완성하기 위해 애쓰는 사람이기도 하면서 자신의 도덕적 수양을 통해 예를 실현하는 사람입니다. 원래 군자는 정치적 지배계층을 가리키는 말로 일반 서민을 가리키는 소인과 대비되는 개념이었습니다. 공자는 이러한 개념을 확장하여 군자와 소인을 도덕적으로 구별하였습니다. 사리사욕에 사로잡혀 자신의 이익과 욕심을 채우는데만 몰두하는 소인과 도덕적 수양을 최우선으로 삼는 군자를 도덕적으로 차별화한 것입니다. 군자는 이익을 따지기보다는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먼저 판단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공자는 군주는 군주다운 성품을 지녀야 한다고 함으로써 정치적 지도자가 가져야 할 덕목으로 도덕적 수양과 실천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는 공자가 당시 지배 계층에게 도덕적 본성을 요구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인간의 도덕적 본성에 근거한 정치를 시행해야 한다는 유학적 정치 이념을 제시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자는 소인도 군자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하여 사회 전반에 걸쳐 정명을 통한 예의 실천을 구현하고자 하였습니다.
공자는 군자가 되기 위해서는 항상 마음이 참되고 미더운 상태가 되도록 자신의 내면을 잘 살피라고 하였습니다. 이렇게 도덕적 수양을 할 뿐만 아니라 옛 성현의 책을 읽고 육예(六藝)를 고루 익혀 다양한 학문적 소양을 갖춰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어느 한 가지 특정 분야에서 뛰어나기보다는 어떤 상황에서든 그에 맞는 제 역할을 다하는 사람이 되라고 독려하였습니다.
유학에서 말하는 이상적인 인간은 성인(聖人)입니다. 공자도 자신을 성인이라고 자처하지 않았습니다. 성인은 도덕적 수양이 더 이상 필요 없는 '인간의 도덕적 본성'을 완성한 인격자를 가리키는데 언제 어디서건 인간의 도리를 벗어나는 일을 하지 않는 완전한 존재로 보았습니다. 따라서 군자는 일상생활에서의 도덕적 수양을 통해 성인의 경지에 도달할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공자는 정치적 지도자뿐만 아니라 일반 서민의 지속적인 도덕적 수양을 통해 혼란스러운 당시의 세상을 이상적인 사회로 이끌고자 하였습니다.
본문 속 단어
▷ 육예 : 중국 주대(周代)에 행해지던 교육과목으로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 등 6종류의 기술입니다. 예는 예용(禮容)이라 하여 예의에 맞는 거동을 말하며, 악은 음악, 사는 활을 쏘는 무술인 궁술을 말합니다. 어는 달리는 말 위에서 선보이는 무예인 마술(馬術)이며, 서는 서도(書道)라고 하여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서예를 뜻합니다. 마지막 수는 수학(數學)으로 숫자와 기호를 사용하여 수량과 도형 및 그것들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입니다.
▷ 제후국 : 제후가 다스리는 나라입니다.
▷ 억압 : 강제로 억누르는 것입니다.
▷ 형성 : 어떤 모양을 이루는 것입니다.
▷ 덕성 : 어질고 너그러운 품성입니다.
▷ 형벌 : 국가 따위가 범죄자에게 처벌하는 것입니다.
▷ 수양 : 몸과 마음을 닦아 기르는 것입니다.
▷ 사리사욕 : 사사로운 이익과 개인적인 욕심입니다.
▷ 몰두 : 어떤 일에 온정신이나 관심을 기울이는 것입니다.
▷ 덕목 : 추구하고 실천해야할 가치 항목입니다.
▷ 구현 : 구체적인 모습으로 뚜렷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 미더운 : 믿을 만한 것입니다.
▷ 자처 : 자기를 어떤 사람으로 여겨 그렇게 처신하는 것입니다.
▷ 독려 : 살피며 격려하는 것입니다.
▷ 소양 : 평소에 닦고 쌓아 바탕이 된 교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