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야민이 바라본 생산학파와 소비학파
- 박학다식
- 2021. 3. 28.
근대 도시의 삶의 양식은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어 왔습니다. 오랫동안 지배적인 관점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삶의 양식 중 노동 양식에 주목하는 생산 학파의 견해였습니다. 생산 학파는 산업 혁명을 통해 근대 도시 특유의 노동 양식이 형성되는 점에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그들은 우선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갖춘 근대 생산 체제가 대규모의 노동력을 각지로부터 도시로 끌어 모으는 현상에 주목했습니다. 또한 다양한 습속을 지닌 사람들이 어떻게 대규모 기계의 리듬에 맞추어 획일적으로 움직이는 노동자가 되는지 탐구했습니다. 예를 들어, 미셀 푸코는 노동자를 집단 규율에 맞춰 금욕 노동을 하는 유순한 몸으로 만들어 착취하기 위해 어떤 훈육 전략이 동원되었는지 연구하였습니다. 또한 생산 학파는 노동자가 기계화된 노동으로 착취당하는 동안 감각과 감성으로 체험하는 내면세계를 상실하고 사물로 전락했다고 고발하였습니다. 이렇게 보면 근대 도시는 어떠한 쾌락과 환상도 끼어들지 못하는 거대한 생산 기계인 듯합니다.
이에 대하여 소비 학파는 근대 도시인이 내면세계를 상실한 사물로 전락한 것은 아니라고 하면서 생산 학파를 비판하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콜린 캠벨은 금욕주의 정신을 지닌 청교도들조차 소비 양식에서 자기 환상적 쾌락주의를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결핍을 충족시키려는 욕망과 실제로 욕망이 충족된 상태 사이에는 시간적 간극이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근대 도시에서는 이 간극이 좌절이 아니라 오히려 욕망이 충족된 미래 상태에 대하 ㄴ주관적 환상을 자아냅니다. 생산 학파와 달리 캠벨은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발달 덕분에 이런 환상이 단순한 몽상이 아니라 실현 가능한 현실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불러일으킨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이런 기대가 쾌락을 유발하여 근대 소비 정신을 북돋웠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근대 들어 노동 양식에 주목한 생산 학파와 소비 양식에 주목한 소비 학파의 입장을 아우르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일찍이 근대 도시의 복합적 특성에 주목했던 발터 벤야민은 이러한 연구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재발견되었습니다. 그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도입이 노동의 소외를 심화한다는 점은 인정하였습니다. 하지만 소비 행위의 의미가 자본가에게 이윤을 가져다주는 구매 행위로 축소될 수는 없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소비는 그보다 더 복합적인 체험을 가져다주기 때문입니다. 벤야민은 이런 사실을 근대 도시에 대한 탐구를 통해 설명합니다. 근대 도시에서는 옛것과 새것,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 등 서로 다른 것들이 방치되고 뒤섞이며 빠르게 흘러갑니다. 환상을 자아내는 다양한 구경거리도 근대 도시 곳곳에 등장했습니다. 철도 여행은 근대 이전에는 정지된 이미지로 체험되었던 풍경을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파노라마로 체험하게 만들었습니다. 또한 유리와 철을 사용하여 만든 상품 거리인 아케이드는 안과 밖, 현실과 꿈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체험을 가져다주었습니다. 벤야민은 이러한 체험이 근대 도시인에게 충격을 가져다준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이러한 충격 체험을 통해 새로운 감성과 감각이 일깨워진다고 말했습니다.
벤야민은 근대 도시의 복합적 특성이 영화라는 새로운 예술 형식에 드러난다고 주장했습니다. 19세기 말에 등장한 신기한 구경거리였던 영화는 벤야민에게 근대 도시의 작동 방식과 리듬에 상응하는 매체였습니다. 영화는 조각난 필름들이 일정한 속도로 흘러가면서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공장에서 컨베이어 벨트가 만들어 내는 기계의 리듬을 떠올리게 합니다. 또한 관객이 아닌 카메라라는 기계 장치 앞에서 연기를 해야 하는 배우나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참여하는 스태프는 작품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분업화로 인해 노동으로부터 소외되는 근대 도시인의 모습이 영화 제작 과정에서도 드러나는 것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영화는 일종의 충격 체험을 통해 근대 도시인에게 새로운 감성과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매체이기도 합니다. 예측 불가능한 이미지의 연쇄로 이루어진 영화를 체험하는 것은 이질적인 대상들이 복잡하고 불규칙하게 뒤섞인 근대 도시의 일상 체험과 유사합니다. 서로 다른 시·공간의 연결, 카메라가 움직일 때마다 변화하는 시점, 느린 화면과 빠른 화면의 교차 등 영화의 형식 원리는 정신적 충격을 발생시킵니다. 영화는 보통 사람의 육안이라는 감각적 지각의 정상적 범위를 넘어선 체험을 가져다줍니다. 벤야민은 이러한 충격 체험을 환각, 꿈의 체험에 빗대어 '시각적 무의식'이라고 불렀습니다. 관객은 영화가 제공하는 시각적 무의식을 체험함으로써 일상적 공간에 대해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게 됩니다. 영화관에 모인 관객은 이런 체험을 집단적으로 공유하면서 동시에 개인적인 꿈의 세계를 향유합니다.
근대 도시와 영화의 체험에 대한 벤야민의 견해는 생산 학파와 소비 학파를 포괄할 수 있는 이론적 단초를 제공합니다. 벤야민은 근대 도시인이 사물화 된 노동자이지만 그 자체로 내면세계를 지닌 꿈 꾸는 자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습니다. 벤야민이 말한 근대 도시는 착취의 사물 세계와 꿈의 주체 세계가 교차하는 복합 공간입니다. 이렇게 벤야민의 견해는 근대 도시에 대한 일면적인 시선을 바로잡는데 도움을 줍니다.
본문 속 단어
▷ 습관 : 습관이 된 풍속입니다.
▷ 전락 : 아래로 굴러 떨어짐. 나쁜 상태나 타락한 상태에 빠지는 것입니다.
▷ 몽상 : 실현성이 없는 헛된 생각을 함, 또는 그 생각입니다.
▷ 모호 : 말이나 태도가 흐리터분하여 분명하지 않는 것입니다.
▷ 단초 : 실마리입니다.
▷ 착취 : 계급 사회에서 생산 수단을 소유한 사람이 생산 수단을 갖지 않은 직접 생산자로부터 그 노동의 성과를 무상으로 취득하는 것입니다.
▷ 환각 : 감각 기관을 자극하는 외부 자극이 없는데도 마치 어떤 사물이 있는 것처럼 지각함, 또는 그런 지각입니다.
▷ 훈육 : 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쳐 기르는 것입니다.
▷ 결핍 : 있어야 할 것이 없어지거나 모자라는 것입니다.
▷ 심화 : 정도나 경지가 점점 깊어짐, 또는 깊어지게 하는 것입니다.
▷ 향유 : 누리어 가지는 것입니다.
▷ 일면적 : 한 방면으로 치우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