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청년 희망적금 자격 신청
- 카테고리 없음
- 2022. 2. 9.
오늘 알아볼 청년지원 정책은 '청년 희망적금'이에요. 2022년 2월 21일부터 시중은행에서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고, 또 2월 9일부터 청년 희망적금을 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지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지금 꼭 알아두셔야 하는 제도라 할 수 있어요.
청년 희망적금이란?
이 글을 읽고 계신 분 중에 "매월 50만 원 저금하면 36만 원 더 준다"라는 뉴스 기사를 보신 분도 계실 거예요. 이게 바로 청년 희망적금을 말하는 건데, 간단하게 설명하면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시중 이자에 더해 납입액의 최대 4%를 저축 장려금으로 지원하는 제도를 말해요.
청년층의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상품인데 최근 부동산, 주식, 코인 시장의 변동성이 워낙 커져있기 때문에 반대로 이런 식의 안정적인 적금 상품이 청년들에게 더 매력적으로 느껴질 수 있을지 궁금하긴 해요.
이 적금의 가장 큰 특징은 납입액에 따라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는 거예요. 그리고 또 하나, 이자소득에 대해서도 이자소득세 및 농어촌 특별세가 과세되지 않는다는 큰 장점이 있어요.
가입자는 매달 50만 원 내에서 자유롭게 2년간 납입할 수 있는데 만기일까지 납입하는 경우 시중 이자에 저축장려금을 더한 금액을 받게 돼요. 일 년 차에는 납입액의 2%가 지원되고, 이 년 차에는 납입액의 4%가 지원되기 때문에 만약 매월 50만 원씩 2년간 납입하는 경우에는 최대 36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어요.
청년 희망적금을 통해 청년이 형성할 수 있는 자산을 좀 더 정확히 알아보면 매월 50만 원씩 2년간 납입하게 될 경우 원금이 1,200만 원이 돼요. 여기에 시중 이자가 더해지고, 또 저축장려금 36만 원이 더해지고, 마지막으로 이자소득이 비과세 됨으로써 약 12,985,000원의 자산을 모을 수 있어요. 단순한 적금이라 생각한다면 금리가 9%나 되는 상품인 거예요.
청년 희망적금 자격
청년 희망적금 역시 다른 지원 제도와 마찬가지로 자격 요건이 있어요. 첫 번째 조건은 앞서 말한 것처럼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청년이어야 해요. 다만 병역이행을 한 경우에는 병역이행 기간은 연령 계산 시 산입 되지 않아요. (병역이행 기간은 최대 6년)
그리고 두 번째 요건은 직전 과세기간인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총급여가 3천 600만원(종합소득금액 2천600만 원) 이하여야 해요. 단, 예외의 경우도 있는데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주식 등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였다면 가입이 제한돼요.
세 번째는 국세청을 통해 소득금액 증명이 가능해야 해요. 만약 소득이 있더라도 국세청을 통한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라면 가입을 할 수 없어요.
이렇게 자격을 알아봤지만 본인이 가입 대상자인지 애매할 때도 있어요. 그럴 때 이용할 수 있는 게 바로 [청년 희망적금 미리 보기] 예요. 2월 9일 수요일부터 2월 18일 금요일까지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은행 총 11개의 앱에서 조회할 수 있어요. 가입 가능 여부는 참여일로부터 2~3 영업일 이내 문자로 알려줘요.
이렇게 청년 희망적금 미리보기를 참여하게 되면 2월 21일 상품이 정식 출시될 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 은행에서 가입요건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즉시 가입할 수 있어요. 그러므로 조금이라도 덜 번거롭기 위해선 적금 계좌를 개설할 은행 앱에서 미리 보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게 좋아요.
청년 희망적금 신청
현행 조세특례헌법에 따라 이자소득 비과세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올해 말 12월 31일까지 꼭 가입을 해야 해요. 청년 희망적금의 출시 첫 주인 2월 21일부터 25일에는 출생연도에 따른 5부제 가입방식이 적용될 예정이에요. 21일 월요일에는 91년, 96년, 01년생이 가입할 수 있고, 22일 화요일에는 87년, 92년, 97년, 02년생 청년이 가입할 수 있으며, 23일 수요일에는 88년, 93년, 98년, 03년생이, 24일 목요일에는 89년, 94년, 99년생, 마지막 25일 금요일에는 90년, 95년, 00년 생 청년이 가입할 수 있어요.
가입가능일 | 출생연도 |
2월 21일(월) | 91년, 96년,01년 |
2월 22일(화) | 87년, 92년, 97년, 02년 |
2월 23일(수) | 88년, 93년, 98년, 03년 |
2월 24일(목) | 89년, 94년, 99년 |
2월 25일(금) | 90년, 95년, 00년 |
가입 희망자는 취급 대상 11개 은행 중 한 곳에서 한 계좌만 개설할 수 있어요. 대면뿐 아니라 비대면으로도 개설할 수 있기 때문에 은행 앱을 통해서 간단하게 가입할 수 있어요. 2월 21일 월요일 정식 출시 이후 이 내용은 다시 한번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할게요.
이상으로 청년 희망적금은 무엇인지, 그리고 가입할 수 있는 자격 요건과 신청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봤어요. 적금을 해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9% 이자에 비과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상품은 그 어디에도 없다는 걸 아실 거예요. 말 그대로 2022년을 살아갈 청년들에게 희망이 될 수 있는 상품이 되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