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역학에서의 불확정성의 원리

양자 역학의 불확정성의 원리는 우리가 물체를 '본다'는 것의 의미를 재고하게 합니다. 책을 보기 위해서는 책에서 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해야 합니다. 다시 말해 무엇을 본다는 것은 대상에서 방출되거나 튕겨 나오는 광양자를 지각하는 것입니다. 

 

광양자는 대상에 부딪혀 튕겨 나올 때 대상에 충격을 주게 되는데, 우리는 왜 글을 읽고 있는 동안 책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없을까요? 그것은 빛이 가하는 충격이 책에 의미 있는 운동을 일으키키에는 턱없이 작기 때문입니다. 날아가는 야구공에 플래시를 터뜨려도 야구공의 운동에 아무 변화가 없어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책이나 야구공에 광양자가 충돌할 때에도 교란이 생기지만 그 효과는 무시할 만한 수준입니다. 

 

어떤 대상의 물리량을 측정하려면 되도록 그 대상을 교란하지 않아야 합니다.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해 과학자들은 주의 깊게 실험을 설계하고 더 나은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교란을 줄여 나갔습니다. 그들은 원칙적으로 측정의 정밀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물리학자들은 소립자의 세계를 다루면서 이러한 생각이 잘못되었음을 깨달았습니다. 

 

'전자를 보는 것'은 '책을 보는 것'과 큰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가 어떤 입자의 운동 상태를 알려면 운동량과 위치를 알아야 합니다. 여기에서 운동량은 물체의 질량과 속도의 곱으로 정의되는 양입니다. 특정한 시점에서 특정한 전자의 운동량과 위치를 알려면, 되도록 전자에 교란을 적게 일으키면서 동시에 두 가지 물리량을 측정해야 합니다. 

 

이상적 상황에서 전자를 '보기' 위해 빛을 쏘아 전자와 충돌시킨 후 튕겨 나오는 광양자를 관측한다고 해봅시다. 운동량이 작은 광양자를 충돌시키면 전자의 운동량을 적게 교란시켜 운동량을 상당히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운동량이 작은 광양자로 이루어진 빛은 파장이 길기 때문에, 관측 순간의 전자의 위치, 즉 광양자와 전자의 충돌 위치의 측정은 부정확해집니다. 전자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파장이 짧은 빛을 써야 합니다. 그런데 파장이 짧은 빛, 곧 광양자의 운동량이 큰 빛을 쓰면 광양자와 충돌한 전자의 속도가 큰 폭으로 변하게 되어 운동량 측정의 부정확성이 오히려  커지게 됩니다. 

 

이처럼 관측자가 알아낼 수 있는 전자의 운동량의 불확실성과 위치의 불확실성은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이 둘을 동시에 줄일 수 없음이 드러났습니다. 이것이 불확정성의 원리입니다. 

 

원소

 

본문 속 단어

 

양자역학 : 입자 및 입자 집단을 다루는 학문(입자:물질을 구성하는 미세한 크기의 물체)입니다.

재고 : 다시 되돌아보는 것입니다.

방출 : 비축하여 놓은 것을 내놓음. 입자나 전자기파의 형태로 에너지를 내보내는 것입니다. 

광양자 : 빛의 입자입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